바나나의 역사 바나나는 기원전 8000년에서 기원전 5000년 사이에 동남아시아에서 기르기 시작하였으며 동남아에 있는 원주민에 해상 이동에 의해 전파가 되었습니다. 원래 바나나에는 씨가 있었으나 동남아에 있는 원주민들에 의해 계속 품종이 개량되어 지금은 씨 없는 바나나가 만들어졌습니다. 바나나는 아라비아반도와 동아프리카를 왕래하던 아랍 상인들이 서아시아 지역으로 전파하였습니다. 바나나는 10세기에 팔레스타인과 이집트에서 과일로 재배되었습니다. 바나나는 이슬람권에서 북아프리카와 스페인으로 전파됩니다. 서부 아프리카에서 바나나를 발견한 포르투갈은 식민지인 브라질로 가져가고 카리브해와 대서양 제도로 전파했습니다. 영국은 19세기 정도에 바나나를 가져왔습니다. 프랑스의 소설가 쥘 베른은 『80일간의 세계 일주』..
양배추의 역사 양배추는 한해살이 잎줄기채소로 지중해 동쪽 지방과 아시아에서 자랐습니다. 양배추는 기원전 600년경 유럽의 해안 지역에 있던 원주민들이 야생종을 먹기 시작한 후 전 세계로 퍼져 나갔습니다. 지금도 유럽에서는 양배추 야생종이 유럽 서부와 남부의 해안 지방과 지중해 연안 등의 여러 나라에 걸쳐서 분포합니다. 고대 그리스 인으로 세계 최초의 식물학자이며 철학자이면서 박물학자였던 테오프라스토스는 많은 저술활동을 하였는데 양배추 품종에 관하여 기록이 상세히 남겼습니다. 그리고 크리스포스라는 철학자는 양배추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문을 남겼습니다. 또한 피타고라스는 채식주의자였는데 양배추에 대한 품종 개량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양배추는 고대 로마 시대에 만병통치약으로 여겨 민간요법으로도 활..
오이의 역사 오이는 인도 서북부의 히말라야 산기슭과 네팔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이는 3000년 전부터 재배되어 온 여름 채소의 대명사로 뽑힙니다. 오이는 인도에서 지중해를 거쳐 유럽으로 퍼집니다. 그 후에 아메리카 대륙에서 퍼졌습니다. 그다음은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 북쪽으로 퍼졌습니다. 오이는 각 지역으로 퍼져서 그 지역의 기후 풍토로 적응했고 서로 다른 형태로 분화되었습니다. 로마에서는 2세기에서 3세기쯤에 겨울에 방 안에서도 길렀다고 합니다. 오이는 1494년 콜럼버스가 쿠바로 오이를 가져갔고 그 뒤 18세기에 북 아메리카 지역으로 퍼졌습니다. 남아메리카는 1647년 브라질에서 오이를 심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세기 장건이라는 사람으로 인해 오이를 기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중국..
당근의 역사 당근은 뿌리가 빨간 뿌리채소로 무처럼 굵은 뿌리를 먹습니다. 무와 생김새가 유사해서 빨간 무라고도 하고 홍당무라고도 합니다. 당나라에서 들어왔다고 당근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당근의 영어 이름은 ‘Carrot’로 당근이 빨간 색깔이 나게끔 하는 카로틴으로 인해 붙은 이름입니다. 당근은 유럽, 아프리카 미 중앙아시아에 널리 분포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의 힌두쿠시 산록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당근은 이란을 거쳐 바빌로니아 그리고 나바테아를 거쳐 유럽으로 전파되었습니다. 고대의 당근은 자색 위주였으며 뿌리가 가늘고 딱딱했으며 품질은 그리 좋지 않았지만 15세기경에 개량이 시작되었습니다. 중국에서는 원나라 초기 정도에 중앙아시아에서 중국 화남을 거쳐 화북지방과 고원지대에서 재배가..
메밀의 역사 메밀의 원산지는 중국 북부와 히말라야입니다. 메밀은 씨를 뿌리고 100일 이내에 수확하는 구황식물이며 전 세계에서 재배되는 일 년생 식물입니다. 메밀은 비료를 적게 줘도 잘 자라며 거칠고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랍니다. 중국 한나라 때 분묘에서 메밀이 나왔던 사실로 미루어 BC1세기에서 2세기경 재배가 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중국 기록에서 AD5세기에서 6세기에 메밀의 생산성이 증가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메밀은 러시아를 통해 유럽으로 전파되었습니다. 그전까지 중국에선 1000년 넘게 재배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15세기 초 시베리아부터 독일까지 전해진 것으로 추측됩니다. 17세기 인도와 중국 그리고 유럽 전역에서 메밀이 재배되었습니다. 메밀은 유럽 여러 나라의 이민자들과 함께 북아메리카로 ..
상추의 역사 상추는 서기전 4500년경에 이집트의 벽화에서 상추가 기록되었다고 합니다. 그것으로 보아 재배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알 수 있습니다. 페르시아인들이 기원전 6세기에 먹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을 통해 상추가 들어왔을 것 같지만 들어온 시기는 뚜렷하지 않습니다. 상추는 고려 시대 1236년에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과 처방을 모아서 펴낸 『향약구급방』에 처음 등장합니다. 중국의 『천록지여』라는 고서에는 고려 상추 맛이 좋아서 중국인들이 고려 사신에게 천금을 주어야 얻을 수 있는 채소라 하여 ‘천금채’라고도 불렸습니다. 추측하자면 고려 이전에 상추를 기른 것 같습니다. 『성호사설』을 저술한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은 여러 쌈 중에 상추쌈이 제일이라고 한 기록이 있습니다. 허준이 편..
시금치의 역사 시금치는 아프가니스탄 주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자랐습니다. 이란 지역에서도 길러왔다고 합니다. 유럽에는 11세기경부터 퍼졌으며 아라비아와 아프리카 북부를 지나서 스페인으로 전해졌습니다. 독일은 13세기, 영국과 프랑스의 재배시기는 16세기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동양으로는 7세기에 페르시아에서 중국으로 건너갔다고 합니다. 조선 시대 1527년에 『혼몽자회』를 펴낸 최세진에 의해 시금치의 이름이 등장합니다. 이런 부분으로 시금치는 조선 초기 들어온 것으로 추정합니다. 『동의보감』과 『산림경제』에서 시금치는 언급이 되었으며 이란 등 고대 페르시아에서 동방으로 전해진 시금치는 『세종실록』에도 등장한 귀한 식물이다. 중국의 농사 책 『농사집요』에서는 반찬으로 먹고 남을 경우 뜨거운 물에 데친 후 햇..
콩의 역사 콩의 기원식물을 ‘야생콩’으로 보는 견해가 대부분입니다. 콩은 중국의 고고학 자료에서 보면 최초 재배시기를 알 수 있습니다. 3천 년 전에 내몽고와 허난 성이라는 곳에서 콩이 발견되었습니다. 중국 중부에 있는 후난 성과 후베이 성에서는 2100년 전 탄화된 검정콩이 발굴되었습니다. 중국 시경에 있는 문헌에서도 콩을 재배한 기록이 있습니다. 중국에서 농경생활을 지탱해준 벼와 대두는 자연에 해를 가하지 않는 좋은 작물입니다. 그중 대두는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토지도 기름지게 만들어 줍니다. 우리나라 콩 재배 시기는 삼한시대라고 중국의 고대서에 나와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청동기시대부터 콩이 재배되었다고 고고학자들에 의해 밝혀졌습니다. 현재의 크기와 비슷한 콩과 팥이 회령에서 발견되기도 했습..
양파의 역사 양파의 기원은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중앙아시아 지중해에서 나왔다고도 하고 이란과 알타이 지방에서 나왔다고도 합니다. 양파는 약 5000년 전에 서남아시아 지역에서 나왔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합니다. 기원전 4000년에는 이집트에서 거대한 피라미드를 축조하던 건설 노동자들이 보양식품으로 챙겨 먹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또한 고대 이집트인은 미라의 눈구멍과 겨드랑이에도 양파를 채웠다고 합니다. 이유는 양파가 방부 효과가 있고 살균 효과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추측합니다. 유럽 사람들은 본인들 현관 앞에 양파를 부적으로 이용하기도 했습니다. 그리스에서는 양파를 7에서 8세기에 길렀다고 하고 인도에서는 기원전 6세기에 약초로 이용했다고도 합니다. 로마 시대 때에 양파는 진주 같은..
토마토의 역사 토마토는 감자와 함께 안데스 산맥의 고랭지 주변이 원산지입니다. 원산지에 사는 사람들은 토마토를 중요한 식량이라 여기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멕시코의 아즈텍인들은 귀히 여기고 지속적으로 재배해왔습니다. 1492년 콜럼버스가 대륙 탐험을 한 후 16세기 여러 탐험가들에 의해 토마토는 유럽에 전해졌습니다. 유럽인들에게 토마토는 관상용 식물로만 재배되었습니다. 유럽에 전해졌지만 200년 동안 식용으로는 먹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토마토가 유럽에서는 독이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그리하여 18세기에나 들어서 토마토를 먹기 시작했습니다 식용으로 재배된 토마토는 영국을 거쳐 북아메리카의 미국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인들도 토마토를 꺼림칙하게 여겼지만 서서히 받아들여집니다. ..
땅콩의 역사 땅속에서 열매가 열리는 땅콩은 남아메리카 브라질과 페루에서 자라는 풀입니다. 땅콩은 고온의 작물로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됩니다. 콜럼버스 이후에 남아메리카로부터 전 세계로 퍼집니다. 중국으로 땅콩이 들어온 것은 18세기쯤에 들어왔고 일본으로 들어온 것은 1874년 미국에서 들어왔습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는 『양 엽기』라는 책에서 땅콩이 누에를 닮았다고 언급을 합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보아 1780년 전후로 해서 땅콩이 들어왔을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그리고 이덕무가 쓴 책에는 중국에서 땅콩을 가져왔는데 땅콩을 기르다가 썩었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그런 내용으로 보아 중국에서 땅콩이 건너온 것 같습니다. 그 후 땅콩은 1900년대에 사람들이 심어 기르기 시작했습니다. 토지를 기름지게 하는..
보리의 역사 세계의 옥수수, 밀, 쌀 다음으로 많이 나는 곡식은 보리입니다. 약 7000년경에서 10000년 전부터 보리를 심어 길렀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체계적인’ 문자인 갑골문자에서 보리라는 글자가 나옵니다 2500년에서 3000년 전쯤부터 우리나라에서 보리를 심었다고 여겨집니다. 지구상에서 1200여 종의 야생종이 있으며 그런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보리는 중국을 거쳐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려 시대 때 일연 스님이 쓴 『삼국유사』에서는 주몽이 부여를 떠날 때 그의 생모인 어머니가 비둘기 목에 보리 씨를 넣어 보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한 고려 시대 때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에서는 고구려 시대와 신라 시대 때 하늘에서 우박이 내려 콩과 보리농사를 망쳤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