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금치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 2021. 7. 15.
시금치의 역사
시금치는 아프가니스탄 주변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자랐습니다. 이란 지역에서도 길러왔다고 합니다. 유럽에는 11세기경부터 퍼졌으며 아라비아와 아프리카 북부를 지나서 스페인으로 전해졌습니다. 독일은 13세기, 영국과 프랑스의 재배시기는 16세기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동양으로는 7세기에 페르시아에서 중국으로 건너갔다고 합니다. 조선 시대 1527년에 『혼몽자회』를 펴낸 최세진에 의해 시금치의 이름이 등장합니다. 이런 부분으로 시금치는 조선 초기 들어온 것으로 추정합니다. 『동의보감』과 『산림경제』에서 시금치는 언급이 되었으며 이란 등 고대 페르시아에서 동방으로 전해진 시금치는 『세종실록』에도 등장한 귀한 식물이다. 중국의 농사 책 『농사집요』에서는 반찬으로 먹고 남을 경우 뜨거운 물에 데친 후 햇볕에 말려 두고 채소가 나지 않는 계절에 따뜻한 물에 담가 먹으면 좋다고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시금치는 북부 온대 지방에서 넓게 분포해 있고 아열대와 열대 고지대 부근에서도 자랍니다. 그리고 시금치는 추위에 강해서 한대 지역에서도 잘 자랍니다. 원산지를 통해 동양에 전파가 되고 아시아 지역에서 개량된 시금치의 품종은 적습니다. 동양으로 전파된 동양종과 서양으로 전파된 서양 종도 있습니다. 지금은 서양과 동양의 혼합 종도 재배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재래종 시금치와 개량하고 육성된 “섬초”는 동양 쪽 시금치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시금치를 무침용 나물을 주로 이용하므로 식감이 좋은 동양 쪽 시금치를 선호합니다.
시금치의 효능
시금치는 베타카로틴과 철분이 있어 소화까지 잘되어 어린이들에게 좋은 음식입니다. 베타카로틴은 녹황색 채소의 주성분으로 우리 몸속에서 비타민A로 전환되는 물질이며 활성산소의 활동을 억제하기도 합니다.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항상 화작용으로 세포의 노화를 늦추며 암을 억제시키며 면역력에도 좋습니다. 또한 시력 보호에도 도움을 줍니다. 시금치에는 비타민B, C 그리고 엽산도 들어있습니다. 그리고 골격과 뼈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칼슘, 철분과 필수 아미노산이 들어 있어 아이들이 성장하는데 좋습니다. 빈혈에도 좋은 철분은 피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필수 미네랄 성분입니다. 미네랄 성분은 체내에서는 합성하지 못하는 성질이 있어 음식을 통해서만 섭취해야 합니다. 우리 몸이 철분이 부족하면 식욕부진이 나타날 수 있고 피로를 느낄 수 있고 신체 발육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주의력과 기억력의 학습능력을 떨어지게 합니다. 당근과 고추에 비해 시금치의 철분은 3배가 넘습니다. 그리고 육류보다 가격도 낮습니다. 시금치에 함유된 엽산은 태아에게 좋은 성분입니다. 임산부가 시금치를 먹을 경우 엽산 성분으로 인해 태아의 선천성 기형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시금치의 요리법
시금치 된장국
재료
시금치 반 단, 멸치 10개, 다시마 5장, 된장 1 숟가락, 다진 마늘 1 작은 숟가락, 물 1200-1300ml, 대파 2숟가락
1. 시금치의 뿌리 부분을 자르고 깨끗이 씻습니다.
2. 시금치를 끓는 물에 10초간 데치고 찬물에 넣어 헹구고 물기를 짜줍니다.
3. 멸치와 다시마 물을 넣고 멸치 다시마 육수를 만들어줍니다.
4. 끓는 멸치 다시마 국물에 데친 시금치를 넣어 주고 3분 정도 끓입니다.
5. 끓이고 있는 국물에 된장을 체에 밭쳐 풀어 준다. 2분 정도 끓입니다.
6. 다진 마늘을 넣어줍니다.
7. 대파를 넣고 1분 더 끓여줍니다.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밀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31 |
---|---|
상추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9 |
콩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5 |
양파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2 |
토마토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