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배추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 2021. 8. 6.
양배추의 역사
양배추는 한해살이 잎줄기채소로 지중해 동쪽 지방과 아시아에서 자랐습니다. 양배추는 기원전 600년경 유럽의 해안 지역에 있던 원주민들이 야생종을 먹기 시작한 후 전 세계로 퍼져 나갔습니다. 지금도 유럽에서는 양배추 야생종이 유럽 서부와 남부의 해안 지방과 지중해 연안 등의 여러 나라에 걸쳐서 분포합니다. 고대 그리스 인으로 세계 최초의 식물학자이며 철학자이면서 박물학자였던 테오프라스토스는 많은 저술활동을 하였는데 양배추 품종에 관하여 기록이 상세히 남겼습니다. 그리고 크리스포스라는 철학자는 양배추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문을 남겼습니다. 또한 피타고라스는 채식주의자였는데 양배추에 대한 품종 개량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양배추는 고대 로마 시대에 만병통치약으로 여겨 민간요법으로도 활용했습니다. 알렉산더 대왕의 경우 병사들에게 양배추가 몸에 좋다고 많이 먹으라고 권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이유로 아시아로 양배추가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양배추는 독일과 러시아로는 중세에 보급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양배추는 중국에서 『본처강목』에 등장합니다. 일본에서는 1700년쯤에 알려졌다고 나오며 우리나라는 1884년에 들어왔습니다. 양배추에 대한 우리나라의 최초의 기록은 견미사절단이었던 최경석이 미국에 갔다가 우리나라로 돌아와 고종의 지원으로 ‘농무목축시험장’을 세워 미국 수입 작물을 재배했는데 이때 양배추도 재배했다고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서양에서 들어왔다고 양배추라 부릅니다.
양배추의 효능
서양의 3대 장수음식으로 요구르트, 올리브, 양배추로 양배추는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양배추는 익혀 먹는 것보다 생으로 먹는 것이 몸에 더 좋습니다. 위와 장이 아픈 사람에게 좋습니다. 양배추는 위를 보호해 주는 음식이며 위장의 장애를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양배추에 들어 있는 비타민 U는 위장 보호에 탁월합니다. 또한 비타민 U는 상처가 난 위벽의 궤양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며 회복을 촉진하기도 합니다. 양배추 생즙 두어 잔은 위궤양 치료 목적에 효과가 있습니다. 양배추 심부위에는 비타민 U와 식이섬유가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양배추의 겉잎에는 속잎에서보다 비타민A와 비타민C가 많습니다. 또한 양배추 속잎에는 비타민 U와 비타민B가 풍부합니다. 양배추는 단백질, 다양한 비타민 그리고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양배추에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미네랄인 셀레늄이 들어 있습니다. 셀레늄은 산화스트레스를 줄여 암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며 동맥경화에도 좋은 물질입니다. 양배추는 필수 아미노산인 라이신이 풍부하여 인체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라이신은 면역력 증강에 좋으며 백내장을 완화시키며 골다공증을 개선합니다. 양배추는 풍부한 비타민C가 있어 칼슘의 흡수를 도와줍니다. 그래서 뼈가 약한 노인분들이나 성장기 어린이들이 먹어야 하는 음식입니다. 양배추의 비타민 C는 콜라겐이 형성에 필요하며 칼슘의 흡수를 도와 면역과 상처를 회복하는데 중요합니다.
양배추 요리법
양배추 쌈밥
재료 보리밥 한 공기, 깻잎 6장, 양배추 잎 5장, 참기름 깨소금, 소금 약간, 후춧가루
쌈장 만들기 : 다진 닭가슴살 40g, 고추장 반 숟가락, 된장 반 숟가락, 물 반 숟가락, 미림 1 작은 술, 다진 마늘 삼분의 1 숟가락, 올리고당 삼분의 1 숟가락
1. 양배추를 먹기 좋게 깻잎 크기로 잘라 줍니다.
2. 찜기에 양배추를 올려 찌어 줍니다.
3. 깻잎과 양배추를 씻어 줍니다.
4. 닭가슴살 쌈장 재료를 모두 섞어 줍니다. (단 다진 닭가슴살은 지금 넣지 않습니다.)
5. 팬에 물을 조금 넣고 다신 닭가슴살을 볶아줍니다.
6. 볶아준 닭가슴살에 닭가슴살 쌈장 재료를 넣어 잘 섞어주며 조려줍니다.
7. 보리밥에 소금과 참기름을 넣어줍니다
8. 양배추와 깻잎 위에 닭가슴살 쌈장을 얹어서 맛있게 먹습니다.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도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8.06 |
---|---|
바나나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1) | 2021.08.06 |
오이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8.05 |
당근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8.05 |
메밀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