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 2021. 7. 31.
메밀의 역사
메밀의 원산지는 중국 북부와 히말라야입니다. 메밀은 씨를 뿌리고 100일 이내에 수확하는 구황식물이며 전 세계에서 재배되는 일 년생 식물입니다. 메밀은 비료를 적게 줘도 잘 자라며 거칠고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랍니다. 중국 한나라 때 분묘에서 메밀이 나왔던 사실로 미루어 BC1세기에서 2세기경 재배가 되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중국 기록에서 AD5세기에서 6세기에 메밀의 생산성이 증가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메밀은 러시아를 통해 유럽으로 전파되었습니다. 그전까지 중국에선 1000년 넘게 재배되어 왔습니다. 그리고 15세기 초 시베리아부터 독일까지 전해진 것으로 추측됩니다. 17세기 인도와 중국 그리고 유럽 전역에서 메밀이 재배되었습니다. 메밀은 유럽 여러 나라의 이민자들과 함께 북아메리카로 전해졌습니다. 일본에서는 8세기에 최초의 메밀 기록이 있습니다. 중국 북부를 거쳐 한반도를 통해 메밀이 일본에 전해졌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5세기에서 6세기쯤 중국으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합니다. 백제 유적지에서는 불에 탄 메밀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에 이미 심어서 길렀을 것이라 추정합니다. 한반도에서 최초 기록은 고려 고종 때 향약구급방에 기재된 것입니다. 고려 시대 때에는 메밀로 국수를 만들어 먹었습니다. 그리고 고려 시대 때 승려가 일본에 메밀로 만든 국수를 전했다고 전해집니다. 조선 시대 때의 기록에는 메밀이 굶주릴 때 먹는 곡식으로 등장합니다.
메밀의 효능
메밀은 몸의 열을 내려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그래서 여름에 먹으면 좋은 음식입니다. 주로 여름철에 냉면이나 국수의 재료로 쓰입니다. 한의학 쪽에서는 메밀을 ‘교맥’이라 하여 위와 장을 튼튼하게 해 준다고 여깁니다. 조선 시대 나온 의학서적인 『동의보감』에 나온 내용에는 메밀이 ‘비위장의 습기와 열기를 없애주고 소화를 도우는 효능으로 1년 동안 쌓였던 체기도 내려간다’고 나옵니다. 메밀에는 루틴이라는 성분이 있어 혈압이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고 정상적 유지를 돕습니다. 메밀에는 전분 성분이 많으며 식이섬유도 많습니다. 단백질이 10% 들어있어 고혈압, 당뇨, 비만 예방에 좋습니다. 메밀에는 섬유질,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 P 등의 다양한 영양성분이 들어있습니다. 메밀은 다른 곡류에 비하면 전분과 지방질이 낮아 많이 먹어도 살이 안 찝니다. 메밀은 허약한 체질을 보강해주고 비만인들의 식욕억제에 효과가 있습니다. 메밀 속에는 단백질이 많고 껍질에는 루틴이 많으며 가루에는 모든 영양이 들어 있습니다. 메밀 뿌리에는 라이신으로 인해 혈관계 질환에 좋습니다. 루틴 성분이 풍부한 껍질로는 메밀베개를 이용했는데 메밀껍질은 흡습성이 좋아 습기를 흡수하고 베개가 보송보송 상태를 유지시켜 숙면에 좋습니다. 그리고 메밀가루에는 아연 함량이 많습니다. 그래서 산모나 여성들이 옛날에 많이 먹었습니다. 메밀을 돼지고기와 먹으며 콜레스테롤 흡수를 떨어뜨려주어 좋습니다.
메밀 요리법
메밀묵밥
재료 메밀묵 한 팩, 소면 1인분, 김치 100g, 김, 오이, 파, 참깨, 달걀 2개, 멸치, 다시마,
양념간장 만들기
간장 5숟가락, 참기름, 풋고추 2개, 쪽파, 설탕 2숟가락, 고춧가루 1숟가락, 마늘 1숟가락
1. 멸치와 다시마로 국물을 만들어 줍니다.
2. 달걀 2개로 고명을 만듭니다.
3. 김치는 잘게 썰어줍니다
4. 오이는 채 썰어 줍니다.
5. 파는 다져 줍니다.
6. 김은 살짝 구워서 봉지에 넣고 부셔 줍니다.
7. 냄비에 물을 끓여 줍니다.
8. 끓여준 물에 소면을 넣고 삶아 줍니다.
9. 메밀묵을 채 썰어 줍니다
10. 그릇에 채 썰어 준 묵을 넣고 고명으로 만든 김치, 김, 오이, 달걀, 참깨를 얹습니다.
11. 멸치 다시마 국물을 부어 줍니다.
12. 소면과 양념장을 넣어 줍니다.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8.05 |
---|---|
당근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8.05 |
상추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9 |
시금치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5 |
콩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