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콩의 역사

    콩의 기원식물을 야생콩으로 보는 견해가 대부분입니다. 콩은 중국의 고고학 자료에서 보면 최초 재배시기를 알 수 있습니다. 3천 년 전에 내몽고와 허난 성이라는 곳에서 콩이 발견되었습니다. 중국 중부에 있는 후난 성과 후베이 성에서는 2100년 전 탄화된 검정콩이 발굴되었습니다. 중국 시경에 있는 문헌에서도 콩을 재배한 기록이 있습니다. 중국에서 농경생활을 지탱해준 벼와 대두는 자연에 해를 가하지 않는 좋은 작물입니다. 그중 대두는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며 토지도 기름지게 만들어 줍니다. 우리나라 콩 재배 시기는 삼한시대라고 중국의 고대서에 나와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청동기시대부터 콩이 재배되었다고 고고학자들에 의해 밝혀졌습니다. 현재의 크기와 비슷한 콩과 팥이 회령에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BC 1000년경에는 평양에서 콩이 발굴되었습니다. 기원전 10-8세기에 경남 합천에서는 민무늬 토기 밑바닥에서 콩이 발견되기도 하였습니다. 우리나라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백제본기 기루왕 때 서리가 내려 콩의 피해가 크다는 내용이  처음 나옵니다. 중국에서도 콩이 발견되어 유물이 많지만 우리나라 또한 콩 출토 유물이 많습니다. 대두의 기원 지는 아시아입니다. 하지만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가 지금은 전 세계 소비량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현재는 거꾸로 한국과 일본은 콩을 수입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자급률은 5프로 이하이며 일본의 자급률도 10프로가 안 됩니다.

     

    콩의 효능

     

    콩에는 칼슘과 이소플라본이 들어있어서 골다공증 치료와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골다공증이란 뼈의 골밀도가 단단하지 않고 낮아 충격에 약해 쉽게 부러지는 증상입니다. 콩에는 비만예방에 좋은 기능성 물질인 미네랄, 이소플라본, 올리고당, 사포닌, 토코페롤 등이 들어 있습니다. 콩의 이소플라본의 경우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구조가 기능이 유사한 점으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도 합니다. 폐경기의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의 대체효과를 볼 수 있는 콩의 섭취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정콩의 안토시아닌은 노화를 늦춰주며 루테인 성분은 시력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검은콩은 전립선암 발생률을 많이 떨어뜨리며 탈모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콩의 이노시톨과 식이섬유와 피틴산은 당뇨를 완화시켜 주기도 합니다. 콩은 식물성 단백질로 동물성 단백질보다 우리 몸에 정말 좋습니다. 그래서 콩을 밭에서 나는 쇠고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콩에는 칼슘, 철분, , 비타민도 들어 있습니다. 콩을 많이 먹게 되면 고혈압을 예방하고 치매도 막아줍니다. 콩은 변비에도 좋으며 대장암을 예방합니다. 술을 먹은 후에 콩나물국으로 해장을 하기도 합니다. 고단백 식품인 콩은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콜레스테롤이 전혀 없습니다.

     

    콩의 요리법

     

    로즈메리 검은콩

     

    재료 로즈메리 조금, 서리태 100g

     

    1. 서리태를 깨끗이 씻고 서리태를 용기에 넣어서 8시간 정도 물에 불립니다.

    2. 채반에 담아 물을 빼줍니다.

    3. 팬에 기름을 두르지 않은 상태에서 콩을 볶습니다.

    4, 콩이 익었으면 로즈메리를 조금 뿌려 콩을 한 번 더 볶아줍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