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 2021. 8. 7.
귤의 역사
감귤 또는 밀감이라고 불리는 귤은 4000년 전에 중국에서 재배를 시작하였습니다. 우리나라는 오래전에 재배되었다고 내려오지만 기록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일본 『히고국사』에 따르면 삼한으로부터 귤을 들어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삼국 시대부터 제주도에서 재배를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귤은 예부터 탐라국이 백제에 공물로 바쳤다고도 합니다. 중국, 한국, 동아시아 사람들이 읽어 온 고전 소설인 『삼국지연의』에서 손권이 조조의 환심을 사기 위해 귤을 보냈다는 부분이 나오는데 그만큼 귤은 중국인들에게 중요한 과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조선 시대의 『조선왕조실록』에서는 귤과 제주도에 대한 언급이 나옵니다. 조선 시대에는 임금에게 바치는 과일이었습니다. 『세종실록』에서 보면 세종 8년에 경상도와 전라도 남해안 지방까지 유자와 감자를 심어 시험 재배하게 하였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조선 시대에는 귤과 관련된 황감제라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제주도에서 귤을 바치면 왕은 성균관 유생들에게 시험을 치르게 하고 성적이 우수한 유생들을 뽑아 귤을 선물로 내려주었습니다. 임금님이 선물을 내걸 만큼 그 당시 귤은 귀한 과일이었습니다. 중종 21년에는 제주목사 이수동이 감귤 밭을 지키는 방호소를 늘렸다는 부분으로 보아 귤이 귀한 과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감귤 재배지는 세계에서 가장 북부에 위치해 있습니다. 1911년 일본에서 도입된 추위에 잘 견디는 재배 품종이 주종을 이룹니다. 통영과 고흥, 완도, 거제, 남해, 금산 등지에서도 최근에 일부의 감귤류가 재배되고 있습니다.
감귤의 효능
귤은 비타민C가 풍부한 알칼리성 과일입니다. 비타민C는 몸의 면역력을 높여주고 세포 재생에 도움이 됩니다. 귤은 비타민C가 들어 있어 추위에 잘 견딜 수 있게 하며 신진대사에 도움을 주어 체온 유지에도 좋습니다. 그리고 호흡기 점막과 구강을 튼튼하게 하여 감기 예방에도 좋습니다. 귤은 비타민 외에도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귤의 영양성분은 당질의 함량이 높고 섬유소와 비타민이 많습니다. 귤에서 나는 신맛은 구연산과 비타민C로 인한 것입니다. 귤에 들어있는 구연산은 식욕 증진과 신진대사를 높여줍니다. 귤을 칼슘과 섭취하면 칼슘의 흡수를 높여줍니다. 귤의 껍질은 암을 예방하고 정장작용과 중금속 해독에 유익한 펙틴이나 식이섬유가 들어있습니다. 우리나라 밀감의 경우 다른 수입산의 비해 베타클립토키산틴의 함량이 더 높습니다. 귤에 들어 있는 베타클립토키산틴은 발암억제 효과가 있습니다. 귤 두 개 정도를 매일 껍질째 먹으면 암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 헤르페리딘이라는 비타민 P성분이 귤의 속껍질에 들어있습니다. 귤의 속껍질에 들어있는 헤스페리딘은 모세혈관을 좋게 해 주고 동맥경화 및 고혈압 예방에도 좋습니다. 이 헤스페리딘은 비타민C의 흡수를 강하게 도와 항산화력을 높여줍니다. 귤의 흰색 속껍질은 헤스페리딘 성분 외에 식이섬유인 펙틴도 있어서 체내에서 독성물질을 제거하여 콜레스테롤도 낮추는 효과를 더해준다. 하루에 귤 두 개를 먹고 하루 권장량의 비타민C를 섭취해봅시다.
귤 요리법
귤껍질 차
재료 유기농 귤껍질 100g, 물 10컵, 꿀, 한지
1. 유기농 귤 중에 껍질이 얇고 싱싱한 귤을 골라 삽니다.
2. 유기농 귤을 식초나 소금으로 깨끗이 씻어줍니다.
3. 귤의 껍질을 벗겨 물기를 없애줍니다.
4. 채반을 준비하여 감귤 껍질이 겹치지 않도록 널어줍니다.
5. 그늘진 곳에서 바짝 말려줍니다.
6. 물기 없이 잘 마르게 되었다면 한지에 싸서 서늘한 곳에 보관한 다음 사용합니다.
7. 찻주전자에 잘 말려진 귤껍질 100g을 담고 물 10컵을 넣어줍니다.
8. 불에 은근이 끓입니다.
9. 물이 줄면 찻잔에 따라서 취향대로 꿀을 넣어 마십니다.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늘의 역사 및 효능 그리고 요리법 (0) | 2021.08.14 |
---|---|
딸기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1) | 2021.08.07 |
감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8.06 |
포도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8.06 |
바나나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1)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