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 2021. 7. 11.
보리의 역사
세계의 옥수수, 밀, 쌀 다음으로 많이 나는 곡식은 보리입니다. 약 7000년경에서 10000년 전부터 보리를 심어 길렀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체계적인’ 문자인 갑골문자에서 보리라는 글자가 나옵니다 2500년에서 3000년 전쯤부터 우리나라에서 보리를 심었다고 여겨집니다. 지구상에서 1200여 종의 야생종이 있으며 그런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보리는 중국을 거쳐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려 시대 때 일연 스님이 쓴 『삼국유사』에서는 주몽이 부여를 떠날 때 그의 생모인 어머니가 비둘기 목에 보리 씨를 넣어 보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또한 고려 시대 때 김부식이 쓴 『삼국사기』에서는 고구려 시대와 신라 시대 때 하늘에서 우박이 내려 콩과 보리농사를 망쳤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 때부터 보리를 심었다는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조선의 농업서적인 『농사직설』에서는 보리를 심어서 기르고 거두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옛날 보리는 쌀이 없어 먹을 것이 없을 적에 밥 대신 먹었던 중요한 식량이었습니다. 가을에 수확한 양식이 없고 보리는 미쳐 여물지 않은 5월에서 6월로 국민들의 식량 사정이 매우 어려운 시기를 보릿고개라고 말합니다. 이땐 풀뿌리, 나무껍질로 끼니를 대체했습니다. 보릿고개는 일제강점기, 만주사변이후, 6.25 전쟁,전쟁 1960년대 초까지 이어졌습니다. 보릿고개는 식량이 늘어나며 사라졌습니다. 웰빙사회로 접어들며 보리 수요가 많아지고 보리의 연구개발로 보리의 수확량이 증대되었습니다.
보리의 효능
보리는 쌀로는 부족한 식생활에서 영양분을 공급해줍니다. 쌀과 보리를 섞어먹으면 균형적인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보리는 열을 내리게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열이 나는 아기들은 보리차를 먹입니다. 보리는 쌀의 7배와 밀의 22배의 식이섬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리의 식이섬유는 대장암 발생을 억제하고 변비를 막아줍니다. 보리는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스태미나를 증진시킵니다. 보리는 우리 몸에 쉽게 쌓이는 지방을 억제시킵니다. 당뇨병에도 좋습니다. 혈압이 올라가는 것도 막아줍니다. 보리에도 컬러가 있는데 보리에 들어 었는 색소는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등으로 항암, 항산화, 항비만, 항당뇨, 중금속 분해 효과의 기능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에서 보리는 설사를 멈추게 하고 오장을 든든하게 하며 지속적으로 먹으면 살이 찌고 튼튼해진다고 나옵니다. 그리고 오랫기간 먹으면 머리털이 하얗게 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보리에 물을 부어 싹을 내 말린 식품인 엿기름은 소화가 잘되게 도와 체했을 때 먹으면 체기가 좋아진다고 나옵니다.
보리의 요리법
단호박 보리 영양밥
재료
보리, 찹쌀, 단호박 1개, 밤 5개, 검은콩, 면보자기, 소금
1. 찹쌀과 보리는 깨끗이 씻어줍니다.
2. 찹쌀과 보리 검은콩은 불려줍니다.
3. 불린 찹쌀과 보리는 1:1의 비율로 섞어줍니다.
4. 3번에 검은콩, 까 놓은 밤을 넣고 소금을 섞어 넣어줍니다.
5. 단호박 안에 재료를 채운 후 찜통에 면 보자기를 씌우고 익을 때까지 찝니다.
'건강한 자연재료 백과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마토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2 |
---|---|
땅콩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1 |
고추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0 |
옥수수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0 |
고구마의 역사 그리고 효능 및 요리법 (0) | 2021.07.10 |